반응형 linux12 [Linux_개념] 쉘 변수(지역변수), 환경 변수(전역변수) 이 글에서 사용된 명령어와 예시는 CentOS8을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쉘 변수 (지역 변수) 쉘 변수는 지역 변수라고도 불리며, 현재 변수를 선언한 쉘에서만 적용되는 변수. 변수를 의미하는 '$'로 표시 변수를 선언할때 빈 공백이 있으면 안됨. ex) hello = world (x) hello=world (o) 환경 변수 (전역 변수) 환경 변수 또는 전역 변수라고도 불리며, 변수를 선언한 쉘의 부모 쉘을 제외한 모든 쉘에 적용되는 변수. 환경 변수 적용 방법 환경 변수 (전역 변수)를 적용하는 방법으로는 두 가지가 있다. 1. 임시로 적용하는 방법 (시스템 재부팅 혹은 재로그인시 초기화되는 방법) : export $ export value[변수이름]=[변수 값] 2. 영구적으로 적용하는 방법 2.. 2023. 2. 21. [Linux_개념] 쉘 (Shell) 이 글에서 사용된 명령어와 예시는 CentOS8을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쉘(Shell) 명령어가 입력되거나 스크립트 파일에서 읽어들이는 명령어들을 해석함으로써 사용자와 커널의 중계(Interface) 역할을 담당한다. 사용자가 로그인하면 쉘이 시작되고 명령어를 입력하면 쉘은 명령행의 구분을 분석하고, 리다이렉션, 파이프, 와일드 카드, 작업 제어 등을 처리하고, 명령어를 PATH변수에서 검색하고 존재하면 실행한다. 쉘의 주요 기능들 중 하나는 명령행 프롬프트에서 입력된 명령어들을 해석하는 대화형 기능이다. 쉘은 명령행에서 입력된 명령어들을 분석해서 '토큰' 이라는 단어 단위로 해석한다. 토큰은 탭이나 빈칸, 개행문자 등 '공백' 으로 구분한다. 입력된 명령어들에 메타문자들이 포함되어 있으면 적절하게.. 2023. 2. 21. [Linux_개념] 프로세스 (Process) 이 글에서 사용된 명령어와 예시는 CentOS8을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프로세스(Process)란? 저장된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로딩되어 활성화된 것으로 하드 디스크에 저장된 실행코드(프로그램)가 메모리에 로딩되어 활성화 되는 것. 즉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나 파일을 뜻함. [정리] 모든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갖게 되고, 하나의 프로세스에는 여러 명령어와 카운트, CPU 레지스터, 그리고 루틴 인자, 복귀 주소, 저장된 변수 등의 테이터 스택이 포함되어 있다. 각 프로세스는 고유의 권한과 책임을 가지고 서로 통신하고, 시스템에서 동작중인 하나의 프로세스가 잘못된 연산을 수행하여 에러를 일으키더라도 다른 프로세스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며, 개별 프로세스는 자신의 가상 주소 .. 2023. 2. 13. [Linux_개념] 디렉토리(Directory) 이 글에서 사용된 명령어와 예시는 CentOS8을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디렉토리(Directory) 종류 [/] : 리눅스 파일 시스템 체계의 최상위 디렉토리 /(루트). 모든 디렉토리들의 시작점이며 모든 파일시스템의 Mount Point가 존재하고 모든 파일시스템의 이름(Name Space)이 존재한다. 모든 디렉토리는 절대 경로를 표시 할 때에 이 디렉토리부터 시작하며, "cd /" 입력하면 바로 root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 주의 : 시스템 관리자의 홈 디렉토리인 /root 와는 별개이다. [/root] : root 계정(시스템 관리자) 의 홈 디렉토리, root 사용자 환경 파일(.bash_profile, .bashrc) 운영제체 설치 기록 파일(install.log,anaconda-ks.. 2023. 2. 12. 이전 1 2 3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