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hell4 [Linux_개념] 쉘 변수(지역변수), 환경 변수(전역변수) 이 글에서 사용된 명령어와 예시는 CentOS8을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쉘 변수 (지역 변수) 쉘 변수는 지역 변수라고도 불리며, 현재 변수를 선언한 쉘에서만 적용되는 변수. 변수를 의미하는 '$'로 표시 변수를 선언할때 빈 공백이 있으면 안됨. ex) hello = world (x) hello=world (o) 환경 변수 (전역 변수) 환경 변수 또는 전역 변수라고도 불리며, 변수를 선언한 쉘의 부모 쉘을 제외한 모든 쉘에 적용되는 변수. 환경 변수 적용 방법 환경 변수 (전역 변수)를 적용하는 방법으로는 두 가지가 있다. 1. 임시로 적용하는 방법 (시스템 재부팅 혹은 재로그인시 초기화되는 방법) : export $ export value[변수이름]=[변수 값] 2. 영구적으로 적용하는 방법 2.. 2023. 2. 21. [Linux_개념] 쉘 (Shell) 이 글에서 사용된 명령어와 예시는 CentOS8을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쉘(Shell) 명령어가 입력되거나 스크립트 파일에서 읽어들이는 명령어들을 해석함으로써 사용자와 커널의 중계(Interface) 역할을 담당한다. 사용자가 로그인하면 쉘이 시작되고 명령어를 입력하면 쉘은 명령행의 구분을 분석하고, 리다이렉션, 파이프, 와일드 카드, 작업 제어 등을 처리하고, 명령어를 PATH변수에서 검색하고 존재하면 실행한다. 쉘의 주요 기능들 중 하나는 명령행 프롬프트에서 입력된 명령어들을 해석하는 대화형 기능이다. 쉘은 명령행에서 입력된 명령어들을 분석해서 '토큰' 이라는 단어 단위로 해석한다. 토큰은 탭이나 빈칸, 개행문자 등 '공백' 으로 구분한다. 입력된 명령어들에 메타문자들이 포함되어 있으면 적절하게.. 2023. 2. 21. [Linux_개념] Shell 메타 캐릭터 (Meta Character) - Shell : 명령어가 입력되거나 스크립트 파일에서 읽어 들이는 명령어들을 해석하여 커널에게 알려주는 사용자와 커널 중계 역할을 하는 도구 - 메타 캐릭터(Meta Character) : Shell이 특별한 의미로 해석하는 문자, 기호를 의미 기호 명칭 설명 예시 ' ' 작은 따옴표 Shell이 해석할 수 없도록 막아줌 입력 : echo $HOME 출력 : /root 입력 : echo '$HOME' 출력 : $HOME " " 큰 따옴표 Shell이 해석 할 수 없도록 막아줌 ($, ``, ₩은 인식) 입력 : echo "$HOME" 출력 : /root 입력 : echo "$HOME is my home direcetory" 출력 : /root is my home direcetory ` ` 역 따옴표(빽.. 2023. 2. 6. [Linux_개념] 리눅스 기본 정리 1. 리눅스 종류 - 데비안 계열 : Debian, Ubuntu, Corel 등 - 슬랙웨어 계열 : Slackware, SuSE, OpenSuSe 등 - 레드햇 계열 : RHEL, Fedora, CentOS, Asianux, Cladera 등 2. 커널(Kernel) PC의 전원이 켜지면 메모리에 올라가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코드를 통해 소프트웨어와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시스템의 모든 자원을 통제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OS의 핵심 커널은 자원을 관리하는 역할이나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상호작용을 위한 시스템이 필요한데, 그 중의 대표적인 것이 쉘(Shell)로 명령어를 해석하는 역할을 한다. [터미널] : 장비에 명령어를 입출력하는데 사용되는 텍스트 기반의 Interface 3. 쉘.. 2023. 2. 4.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