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u, su -
: 로그아웃 없이 임시로 다른 사용자 계정을 사용하는 명령어
다른 사용자의 권한으로 쉘을 실행. 서버에 접속한 상태에서 로그아웃 없이 다른 사용자로 전환할 수 있으며, 원격 접속시에 다른 사용자로 로그인하기 위해 로그아웃하면 접속이 종료가 되는데 종료 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사용자로 로그인하고자 할 때 사용.
일반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가 되는 것은 권한이 높아지는 것이기에 전환되는 사용자의 암호를 입력해야만 전환이 가능하고 root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권한이 낮아지는 것이기 때문에 암호 입력 없이 전환이 가능.
su : 이전 사용자의 export 변수 설정이 계승된 로그인
su - : 이전 사용자의 export변수 설정이 계승되지 않는 로그인 (새로 로그인 한 것처럼 됨)
sudo
: 관리자(root)가 아닌 일반 사용자가 root 권한을 빌려서 sudo 뒤에 오는 명령어를 실행. 명령어를 실행하는 사용자는 일반 사용자가 됨. 그렇기 때문에 작업을 실행하면 소유자가 지금 사용자가 됨.
- root 암호를 공유할 필요가 없음.
- 기본적으로 sudo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나 그룹이 등록되어 있어야 함. -> /etc/sudoers
- 사용자가 관리자권한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의 제한을 둘 수 있음. -> /etc/sudoers
728x90
'운영체제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_개념] 프로세스 (Process) (0) | 2023.02.13 |
---|---|
[Linux_개념] 디렉토리(Directory) (0) | 2023.02.12 |
[Linux_개념] 압축&아카이빙(gzip, bzip2, tar, zip) (0) | 2023.02.07 |
[Linux_개념] Shell 메타 캐릭터 (Meta Character) (0) | 2023.02.06 |
[Linux_개념] 리눅스 기본 정리 (0) | 2023.0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