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리눅스 종류
- 데비안 계열 : Debian, Ubuntu, Corel 등
- 슬랙웨어 계열 : Slackware, SuSE, OpenSuSe 등
- 레드햇 계열 : RHEL, Fedora, CentOS, Asianux, Cladera 등
2. 커널(Kernel)
PC의 전원이 켜지면 메모리에 올라가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코드를 통해 소프트웨어와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시스템의 모든 자원을 통제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OS의 핵심
커널은 자원을 관리하는 역할이나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상호작용을 위한 시스템이 필요한데, 그 중의 대표적인 것이 쉘(Shell)로 명령어를 해석하는 역할을 한다.
[터미널] : 장비에 명령어를 입출력하는데 사용되는 텍스트 기반의 Interface
3. 쉘(Shell)
명령어를 해석하는 역할로 사용자가 명령어를 입력하면 명령어를 커널이 해석 할 수 있게 기계어로 변경해서 커널에게 전달한다 커널이 해석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게 CPU에 전달하며 쉘을 실행하려면 장비에 터미널로 로그인을 해야 한다.
728x90
'운영체제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_개념] 프로세스 (Process) (0) | 2023.02.13 |
---|---|
[Linux_개념] 디렉토리(Directory) (0) | 2023.02.12 |
[Linux_개념] 압축&아카이빙(gzip, bzip2, tar, zip) (0) | 2023.02.07 |
[Linux_개념] su, sudo란? (0) | 2023.02.07 |
[Linux_개념] Shell 메타 캐릭터 (Meta Character) (0) | 2023.0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