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해당 게시글은 정보처리기사-실기 시험 Chapter 1.[요구사항 확인]의 용어 관련 개념정리 요약글(3)이다.
요구사항 확인
▶ 요구공학
사용자의 요구가 반영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한 도출, 분석, 명세, 확인 및 검증하는 구조화된 활동
▷ 요구사항의 분류
- 기능적 요구사항 :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능, 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
- 특정 입력/상황에 대해 시스템이 어떻게 반응/동작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술
- 특성 : 기능성, 일관성, 완전성 - 비기능적 요구사항 : 시스템 구축에 대한 제약사항에 관한 요구사항
- 품질 속성에 관련하여 시스템이 갖춰야할 사항에 관한 기술, 시스템이 준수해야 할 제한 조건에 관한 기술
- 특성 : 신뢰성, 사용성, 효율성, 유지보수성, 이식성, 보안성 및 품질 관련 요구사항, 제약사항 - 사용자 요구사항 : 사용자 관점에서 시스템이 제공해야 할 기능 및 서비스
- 시스템 요구사항 : 개발자 관점
▷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
- 요구사항 도출 : 시스템 개발에 관련된 사람들이 서로 의견을 교환하여 요구사항을 식별하고 이해하는 과정으로 개발자와 고객사이의 관계 성립과 이해관계자가 식별되는 단계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SDLC) 동안 지속적으로 반복)
- 설문
- 인터뷰
- 브레인스토밍
- 워크샵
- 델파이 기법
- 롤 플레잉 - 요구사항 분석 : 개발 대상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 중 명확하지 않거나 모호하여 이해되지 않는 부분을 발견하고 이를 걸러내기 위한 과정으로 요구사항의 타당성을 조사하고 비용과 일정에 대한 제약을 설정하는 단계
- 요구사항 분류
- 개념 모델링 : 요구사항 분석의 핵심으로 요구사항을 단순화하여 개념적으로 표현한 것, UML 사용
* UML : 개발자간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하여 만들어진 표준 통합 모델링 언어(구성요소 : 사물, 관계, 다이어그램)
- 요구사항 협상 : 충돌되는 요구사항 해결
- 요구사항 할당 : 아키텍처 구성요소 식별
- 정형 분석 : 구문과 의미를 갖는 언어를 수학적 기호로 표현하여 분석 - 요구사항 명세 : 체계적으로 검토, 평가, 승인될 수 있는 문서를 작성하는 단계
- 문서화
- 시스템 요구사항 명세서
- 시스템 정의서 - 요구사항 확인(검증) : 분석가가 요구사항을 이해했는지 확인하고, 요구사항 문서가 회사와 표준에 적합하고 이해 가능하며, 일관성 있고 완전한지에 대한 검증을 하는 단계
- 검증내용: 무결성, 일관성, 명확성, 기능성, 검증 가능성, 추적가능성
- 요구사항 검토 : 여러 검토자들이 에러, 잘못된 가정, 불명확성, 표준과의 차이 검토
- 프로토타이핑 활용 : 프로토타입을 통해 효과적으로 요구 분석을 수행하면서 명세서를 산출하는 작업
- 모델 검증 : 분석단계에서 개발된 모델의 품질 검증 필요
- 정형 기술 검토 활용 : 동료 검토, 워크 스루, 인스펙션
* 동료 검토 : 2~3명이 진행, 요구사항 명세서 작성자가 요구사항 명세서를 설명하고 이해관계자들이 설명을 들으면서 결함을 발견
* 워크 스루 : 회의 전에 검토 자료를 배포해서 사전 검토한 후 짧은 시간 동안 회의를 진행하는 형태
* 인스펙션 : 원시 코드 등을 저작자 외의 다른 전문가 또는 팀이 검사해 오류를 찾아내는 공식적 검토 방법
- 인수 테스트 : 사용자의 입장에서 테스트하는 방법으로 알파 테스트, 베타 테스트가 있음
* 알파 테스트 : 개발자와 함께 통제된 환경에서 테스트
* 베타 테스트 : 여러 사용자가 통제되지 않는 환경에서 테스트
728x90
'정보처리기사 실기(개정 후) > 1장. 요구사항 확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정보처리기사 실기] 1장. 요구사항 확인 개념정리 요약(2) (1) | 2023.04.17 |
---|---|
[2023 정보처리기사 실기] 1장. 요구사항 확인 개념정리 요약(1) (1) | 2023.04.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