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해당 게시글은 정보처리기사-실기 시험 Chapter 10.[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의 용어 관련 개념정리 요약글(2)이다.
애플리케이션 통합 테스트
▶ 통합 테스트
소프트웨어의 각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 관련 오류와 결함을 찾아내는 테스트
- 빅뱅 테스트 : 모든 모듈을 동시에 통합 후 테스트
- 상향식 테스트 : 테스트 드라이버
- 하향식 테스트 : 깊이-너비, 테스트 스텁
- 샌드위치 테스트 : 상향식 + 하향식 테스트, 병렬 테스트 가능
▶ 목(Mock) 객체
실제 객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기 때문에, 비용이 적게 들도록 가짜 객체를 생성하여 사용하는 것
★ 목(Mock) 객체 유형
- 더미 객체 : 객체만 필요하고 해당 객체의 기능까지는 필요하지 않은 경우 사용
- 테스트 스텁 : 제어 모듈이 호출하는 타 모듈의 기능을 단순히 수행하는 도구
- 테스트 드라이버 : 테스트 대상 하위 모듈을 호출, 파라미터 전달, 모듈 테스트 수행 후 결과 도출
- 테스트 스파이 : 테스트 대상 클래스와 협력하는 클래스
- 가짜 객체 : 실체 협력 클래스의 기능을 대체해야 할 경우 사용
▶ 테스트 자동화 도구 유형
- 정적 분석 도구 : 만들어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고 분석, 코딩 표준, 코딩 스타일 등 남은 결함을 발견하기 위해 사용
- 테스트 실행 도구 : 작성된 스크립트를 실행
- 데이터 주도 접근 방식, 키워드 주도 접근 방식 - 성능 테스트 도구 : 처리량, 응답시간, 경과시간, 자원 사용률에 대해 가상의 사용자를 생성하고 테스트 수행
- 테스트 통제 도구 : 테스트 관리, 형상 관리, 결함 추적/관리 도구
▶ 테스트 하네스(Test Harness)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및 모듈을 테스트하는 환경의 일부분으로, 테스트를 지원하기 위한 코드와 데이터를 말하며, 단위 또는 모듈 테스트에 사용하기 위해 코드 개발자가 작성한다.
★ 테스트 하네스 구성요소
- 테스트 드라이버
- 테스트 스텁
- 테스트 케이스
- 테스트 슈트 : 테스트 케이스의 집합
- 테스트 스크립트 : 자동화된 테스트 실행 절차에 대한 명세
- 목(Mock) 객체 : 사용자의 행위를 조건부로 사전 입력해 두면, 그 상황에 예정된 행위 수행
▶ 결함 관리
결함은 프로그램과 명세서 간의 차이, 업무 내용의 불일치로, 기대 결과와 실제 결과 간의 차이이다.
사용자가 기대하는 타당한 기대치를 시스템이 만족시키지 못할 때 변경이 필요한 모든 것을 결함이라고 한다.
▷ 결함 관리 프로세스
- 결함 관리계획
- 결함 등록
- 결함 검토
- 결함 수정
- 결함 재확인
- 결함 상태 추적 및 모니터링 활동
- 최종 결함 분석 및 보고서 작성
▷ 결함 분석 방법
- 구체화(Specification) : 결함을 발생시킨 입력값, 테스트 절차, 환경 파악
- 고립화(Isolation) : 어떤 요소가 결함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
- 일반화 : 결함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일반화 시키는 방법
▷ 결함 관리 측정 지표
- 결함 분포 분석 : 각 APP 모듈 또는 컴포넌트의 특정 속성에 해당하는 결함의 수 측정해 분석(결함 수)
- 결함 추세 분석 : 테스트 진행 시간의 흐름에 따른 결함 수 측정해 분석(결함 수 추이)
- 결함 에이징 분석 : 등록된 결함에 대해 특정한 결함 상태의 지속 시간을 측정해 분석(결함 지속 시간)
728x90
'정보처리기사 실기(개정 후) > 10장.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정보처리기사 실기] 10장.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개념정리 요약(3) (1) | 2023.04.15 |
---|---|
[2023 정보처리기사 실기] 10장.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개념정리 요약(1) (0) | 2023.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