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그라데이션
네트워크/기초 개념

[NW_개념] LAN과 WAN

by 콩리토 2023. 3. 1.
반응형

LAN ( Local Area Network)

 LAN이란 사용자가 포함된 소규모 네트워크이며, 다른 지역 네트워크와 연결되지 않는 분리된 네트워크 환경을 뜻한다.

 

여기서 사용자란 이 글을 보고 있을 여러분들과 나와 같은 사람들이라고 볼 수 있으며,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PC들은 LAN 환경에 연결된 END-Point 장비이다. 

 

LAN 전송 장비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대표적인 프로토콜로는 Ethernet이 있다.

 

 LAN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장비는 허브, 스위치, UTP 케이블 등이 있다.

다수의 PC를 연결할 경우 리피터, 브릿지와 같은 장비들을 사용했지만, 허브와 스위치가 리피터와 브릿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허브 또한 스위칭 장비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그리하여 요즘은 스위칭 허브, 스위치, UTP 케이블을 이용하여 LAN을 구성하는 방법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LAN 구축형태로 버스형, 링형, 스타형, 메쉬형 등이 있으며 이러한 연결 방식(구조)들은 토폴로지라고도 부른다.

 

 

각각 토폴로지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비용, 거리, 시간, 환경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토폴로지를 구축하는게 LAN 환경을 구축하는데 중요합니다.

 

* 환경에 따른 토폴로지

 

[소규모, 적은 비용]
  ▶ 버스형, 스타형

[구축의 유연성]

  ▶ 스타형

[많은 트래픽, 원활한 통신]

  ▶ 링형

[안정성이 중요시되는 환경]

  ▶ 메쉬형

 

WAN (Wide Area Network)

 WAN은 서로 분리된 LAN과 LAN을 광범위한 지역 단위로 구성하는 네트워크이며,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를 통하여 스위치와 스위치간의 연결을 실시한다. WAN 구간은 ISP 업체로부터 고객 환경에 적합한 서비스를 임대하는 방식이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관리는 ISP 업체 관리자가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LAN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는 장비가 스위치라면, WAN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는 장비는 라우터이다.

라우터란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며, 로컬 환경에서 리모트 환경으로 원거리 데이터 전송을 하게 한다.

 

대표적인 프로토콜로는 HDLC, PPP, Frame-Relay가 있다.

 

*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란?

→ 상호 회사 간에 통신 서비스를 담당하는 업체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WAN 환경을 구축한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회사로 KT, 데이콤 등이 있다.

728x90

'네트워크 > 기초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NW_개념]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0) 2023.03.17
[Network] OSI 7계층  (0) 2023.03.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