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그라데이션
운영체제/Linux

[Linux_개념] 마운트(Mount)

by 콩리토 2023. 2. 24.
반응형
이 글에서 사용된 명령어와 예시는 CentOS8을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마운트 (Mount)

 리눅스의 물리적인 장치(하드디스크 파티션, CD/DVD, USB 등)를 특정 한 위치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물리적인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마운트 과정을 거쳐야 사용가능하며, 더이상 사용할 필요가 없는 자원은 언마운트를 해준다.

 

마운트에 관련된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 mount : 현재 자원을 마운트할 때 사용
    ex) # mount /dev/sda1[마운트할 파티션/볼륨] /test[마운트할 디렉토리]
  • umount : 자원의 마운트를 해제 할 때 사용 (사용중인 파일 시스템은 umount로 불가하며 fuser를 사용해서 해제)
    ex) # umount /test[마운트된 디렉토리]
  • df: 마운트 상황 정보나 시스템의 디스크 공간 사용량 점검 확인할 때 사용

◆ /etc/mtab

 현재 마운트된 정보를 파일로 관리한다. 마운트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기록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마운트가 된 장치가 있다면 자동으로 정보를 기록하고, 마운트 해제된 장치는 정보를 삭제한다.

 

</etc/mtab 마운트 정보 확인 예시>

 위 그림과 같이 /etc/mtab 파일안의 /dev/sda1 을 포함하는 리스트들을 터미널에 출력해보았다.

마운트 파일 내용의 해석내용은 다음과 같다.

  • /dev/sda1 : 파일시스템 이름
  • /boot : 마운트 포인트
  • xfs : 파일시스템 유형
  • rw ~~~ noquota : 옵션
  • 0 : DUMP 관련 설정
    * DUMP 파일 : 시스템 테스트 목적이나 프로그램 디버그 목적을 위해 기록되는 파일로 파일시스템 자체를 직접 읽어내는 방법을 사용하여 파일들이 아닌 파일시스템 전체를 백업
  • 0 : 파일 점검 옵션

/etc/fstab

 부팅시 사용할 마운트 정보는 /etc/fstab 파일로 관리한다. 관리자가 직접 편집해야 하며 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할 장치가 있다면 /etc/fstab 에 등록을 해야 한다.

 

</etc/fstab 마운트 입력 내용 예시>

 

13번째줄이 부팅시 마운트될 내용이다. 위의 마운트 파일 해석 내용 순서대로 파일시스템 이름, 마운트 포인트, 파일시스템 유형, 옵션, DUMP 관련 설정, 파일 점검 옵션을 차례로 입력해주면 된다.

 

 /proc/mounts

 process 가상 파일시스템의 일부이며,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파일이다. 리눅스 커널이 시스템 상태를 파일 형식으로만 보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728x90

댓글